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금액 (+계산, 상한액, 소정급여일수)

by 새벽수영2 2025. 4. 19.
반응형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했을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지급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입니다. 단순한 생계비 지원을 넘어서 재취업을 유도하고 돕는 제도로, 매년 제도와 금액, 수급 조건이 조금씩 변경되고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업급여 계산 방법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상한액과 하한액이 적용됩니다.

1. 평균임금 산정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총 임금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누어 1일 평균임금을 산정합니다.

2. 구직급여일액 계산

산정된 1일 평균임금의 60%를 구직급여일액으로 합니다.

  • 상한액: 1일 66,000원
  • 하한액: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의 80%에 해당하는 8시간 기준 64,192원

즉, 구직급여일액은 64,192원 이상 66,000원 이하로 지급됩니다.

3. 총 수급액 계산

구직급여일액에 소정급여일수를 곱하여 총 수급액을 계산합니다.

 

 ▶ ▶ ▶ ▶ ▶ 고용24   실업급여 수령액 무료계산기 바로가기 


소정급여일수

소정급여일수는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퇴직 당시 연령에 따라 결정됩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        
1년 미만 120일 120일
1년 이상~3년 미만 150일 180일
3년 이상~5년 미만 180일 210일
5년 이상~10년 미만 210일 240일
10년 이상 240일 270일

 실업급여 예시 계산

예를 들어, 퇴직 전 평균임금이 하루 100,000원인 근로자가 3년 이상~5년 미만 근무하고 50세 미만인 경우:

  • 구직급여일액: 100,000원 × 60% = 60,000원
  • 소정급여일수: 180일​
  • 총 수급액: 60,000원 × 180일 = 10,800,000원

 유의사항

  • 반복 수급자 감액: 최근 5년 이내 3회 이상 실업급여를 수급한 경우, 3회째부터 지급액이 감액됩니다.
  • 구직활동 의무: 실업급여 수급 중에는 정기적인 구직활동 보고와 실업인정을 받아야 합니다.

 

 

실업급여 조건 (+6개월, 조기재취업수당)

실업급여는 비자발적으로 실직한 근로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구직급여입니다. 수급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고용보험 가입 기간: 퇴사 전 18개월(540일) 동안

sea300.tistory.com

 

 

차상위계층(+조건, 혜택, 신청, 확인서)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보다 소득이 높지만 여전히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대상으로 정부가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현재, 차상위계층의 조건, 혜택,

sea300.tistory.com

 

 

주거급여신청자격(+금액, 조건, 수급자, 혜택)

​주거급여는 저소득층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로, 임차가구의 월세 지원과 자가가구의 주택 수선비용 지원을 포함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주거급여의 신청 자격, 지원

sea300.tistory.com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조건, 유형2)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기업에게 최대 720만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유형Ⅱ가

sea300.tistory.com

 

 

국비 지원 취업 성공

2025년 현재,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비지원 무료교육 과정은취업 준비생, 경력 단절자, 중장년층에게 큰 기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특히,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수강이 가능한 취업 유망

sea300.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