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관저 퇴거 지연과 그에 따른 정치적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에도 한남동 관저에 머무르며 정치 활동을 이어가는 윤 전 대통령의 행보와 이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관저 퇴거 지연 상황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인용하여 파면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파면 이후 나흘이 지난 4월 7일까지도 윤 전 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머물고 있으며, 퇴거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일각에서는 4월 9일 퇴거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대통령실은 "퇴거일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호 대비와 사저 정비 등의 이유로 일정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당선 전 거주하던 서초구 아크로비스타로 거처를 옮길 것으로 예상되지만, 경호 문제와 자택 정비 등의 이유로 일정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대통령경호처는 이에 대비해 경호상황실 구성, 경호 인력 배치 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행법에 따르면 전직 대통령은 최대 10년까지 경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관저 정치' 논란과 정치권의 반응
윤 전 대통령은 관저에 머무르며 국민의힘 의원들과의 만남을 이어가고 있어 '관저 정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나경원 의원과의 차담에서 윤 전 대통령은 "어려운 시기에 역할을 많이 해줘서 고맙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내란수괴가 관저 정치로 또 대한민국을 흔들려 한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례와의 비교
이전 사례와 비교해보면,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3월 10일 파면된 뒤 같은 달 12일 청와대를 떠났습니다. 이에 비해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지연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법적 논란과 국민 여론
일부 시민들은 윤 전 대통령이 관저에서 퇴거하지 않는 것이 불법 점유에 해당한다며 고발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인터넷상에서는 윤 전 대통령 내외가 재임 기간 중 무속 논란에 휩싸인 점을 언급하며 "'손 없는 날'에 이사할 것"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일정이 지연됨에 따라, 정치적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경호처와 관련 기관들은 퇴거 준비를 서두르고 있지만, 정확한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국민들은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책임 있는 자세와 신속한 퇴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향후 행보와 그에 따른 정치적 파장은 계속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